반응형

문서작업이나 포토샵 작업 등을 하다보면 이미지 크기에 영향을 받지않는 벡터 기반의 파일들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직접 만들어서 사용할수도 있으나 편리한 것들을 이용하는것도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오늘 소개하는 사이트는 여러 아이콘이 있으며 접속후에 바로 아이콘들의 굵기와 크기, 마감처리의 형태, 색상까지 골라서 지정한뒤에 다운을 받을 수있습니다. 

 

아래의 홈페이지에 접속합니다. 회원가입없이 원하는 설정들을 선택한뒤에 다운받으면 됩니다.

 

ikonate.com/

 

Ikonate – fully customisable & accessible vector icons

Customise, adjust and download free vector icons. Ikonate is an adaptable set of optimised, accessible SVG icons that use can easily use in both development and design apps such as Sketch and Photoshop. Ready to use as images, inline SVGs or SVG sprites.

ikonate.com

 

먼저 다운받을 아이콘들을 선택하고 홈페이지의 좌측에서 얘기한대로 크기와 굵기, 색상, 직선으로 할 것인지, 곡선으로 할것인지 등을 지정할 수가 있습니다.

메인은 하얀색의 배경이지만 다크모드 설정이 가능합니다. 본인이 원하는 아이콘의 형태들을 정해서 설정한후에 하단의 Export all icons를 눌러서 다운받은뒤에 압축을 풀어서 사용하면 됩니다. 사실 일러스트 작업이 어느정도 가능한 분이라면 직접 만들어서 가능한 부분이지만 즉각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방법들을 알고 있으면서 활용하면 작업을 하는데 훨씬 더 도움이 됩니다.

 

다음번에 기회가되면 그런 도움이 될만한 다른 사이트들을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국내에 서비스를 시작하지 않은 OTT 사업자중에 디즈니 플러스가 있습니다. 산하에 보유한 콘텐츠 브랜드의 면면을 들여다보면 디즈니, 픽사, 마블, 스타워즈, 내셔널 지오그래픽이 있습니다. 국내 출시를 준비해왔고 오늘자 기사로 구체적인 협력사의 이름이 언급되는 등 출시가 멀지 않았음을 알리고 있고요. 어떻게 될지는 모르겠지만 이용료도 넷플릭스보다 저렴한 수준으로 책정된다면 경쟁력이 어마어마할 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넷플릭스도 넷플릭스 오리지널 같은 신선한 콘텐츠들이 넘쳐나지만 디즈니의 무기는 이미 친숙함을 갖추고 있다는데 있습니다. 최근 방영을 시작한 완다비전이나 한창 제작중인 호크 아이 등 이미 경쟁력이 증명된 캐릭터와 스토리들로 시청자들의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습니다. 그 외에 대기중인 라인업만봐도 군침을 흘리고도 남을 정도입니다. 선택권이 많아진다는게 이용자 입장에서는 그만큼 더 많은 서비스를 누릴 기회가 주어진다고 생각합니다. 넷플릭스의 독주체제에서 디즈니의 등장으로 구독 서비스의 함정에 더 빠져들게 되겠지만 그런것보다 출시가 기다려지는 이유가 훨씬 많은 것 같네요. 

 

 

해당 서비스를 확보하는것이 매출증대로 이어질게 분명하기에 국내 통신사들의 협상이 치열하다는데 가능하면 제가 이용하는 통신사가 선정되기를 기대해 봅니다. 

 

그야말로 구독서비스의 홍수입니다. 모든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더할나위없이 좋겠지만 상황상 선택을 해야될수도 있을텐데 컨텐츠를 생각만해도 디즈니의 경쟁력이 막강해 보입니다.

 

앞서 언급했던 만달로리안을 보고 추억에 젖어 스타워즈 에피소드들을 다시보고 어벤져스의 보고싶은 시리즈를 다시보는 장면을 생각하니 서비스가 시작될 날이 더욱 더 기다려지네요.

 

합리적이고 저렴한 요금제로 이용자들의 많은 선택을 받기를 바래봅니다.

반응형
반응형

스마트폰으로 불가능한게 없는 시대입니다. 예전처럼 종이 통장은 사용안한지가 좀 되어가고 은행을 방문할일도 현저히 줄어든 세상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러나 현금이 필요해서 은행들의 365코너나 편의점에서 출금을 하거나 어플 등을 통해서 이체를 할 때 수수료를 지불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 할 수 있는데 비교적 쉽게 그런것들을 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가장 편리한 방법은 카카오뱅크나 케이뱅크 같은 인터넷 뱅킹 계좌를 만드는 것입니다. 케이뱅크는 현재 사용하지 않고 있는 관계로 카카오뱅크 기준으로 설명을하면 어느 편의점의 ATM기기이던, 어느 은행의 365코너이던 무료로 출금을 할 수 있습니다. 출금시에 화면상으로는 수수료가 부과되는것처럼 나오지만 실제로 적용되지는 않습니다. 직관적인 어플과 사용자한테 직접 도움이 되는 서비스와 빠른처리속도로 인해서 카카오뱅크가 빠르게 자리잡은걸 보면 좋은 서비스나 정책들은 사용자들이 결국 알게되고 입소문이든 어느 방식으로든 사용자가 몰리게 된다고 생각합니다.

 

주거래 은행에서도 여러 혜택들이 있지만 등급이 낮거나 하면 차등적용을 받기 때문에 크진 않더라도 얼마간의 지출이 있을수 있지만 인터넷 은행들은 조건없이 완전 무료 서비스를 시행하고 있으니 이용가치가 높습니다. 은행에서 출금할 경우에는 비교적 몇백원의 수수료를 지불하지만 편의점같은 경우에서는 천원이 넘어가는 경우가 많으니 당장 급하지는 않아보여도 아쉬울때가 분명히 있습니다. 사용이 꺼려지신다 하더라도 주거래은행에서 카카오뱅크로 이체한뒤에 카뱅을 통해서 출금을하면 되니 아직 없으시다면 추천 드립니다.

 

ATM 출금외에 이체수수료 무료는 거의 누리고 있는 분이 많으실텐데 혹시 아니라면 각 은행 어플에서 다른 은행 계좌 등록조회가 가능한 시스템을 등록하시면 무료 수수료의 혜택을 주고 있습니다. 각 은행의 어플에서 손쉽게 등록이 가능합니다.

 

또한 네이버페이, 카카오페이 등의

공격적인 마케팅으로 무료 수수료와 포인트 환급률이 높은 정책들이 많기에 본인이 보유한 계좌나 개설이 쉬운 계좌들을 확인하시어 혜택을 누리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반응형

데스크탑을 사용하다면 화면을 캡쳐해야 상황이 많이 생깁니다. 대부분 카카오톡 PC버젼까지 설치해서 대화를 주고받을때 캡쳐한 화면을 바로 첨부해서 사용할수도 있고 기록을 남기거나 자료조사 등 유용한 부분이 많습니다.

 

많은 캡쳐 프로그램이 있는데 그 중 알 캡쳐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알집으로 유명한 ESTsoft의 프로그램입니다. 알집, 알약, 알씨 등등 편리한 프로그램이 많습니다.

 

보통은 직접 영역을 지정하거나, 스크롤을 하거나 현재 화면 전체를 저장하는 것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보는데 해당 기능들일 직관적으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캡쳐후에는 굳이 저장하지 않아도 복사 버튼을 통해서 포토샵 등 사용플포그램이 있다면 바로 붙여넣기로 사용할 수 있고, 환경설정을 통해서 본인이 손에 익은 단축키로 설정을해서 빠르게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고정사이즈로 사이즈를 지정한뒤에 사용하는 것도 문제가 없습니다.

운영체제에 따라 다르거나 워낙에 많은 프로그램들이 있어서 사용자 손에 맞는 것으로 쓰는게 가장 정답이긴 한데 사용하면서 크게 불편함을 못느끼고 있고 주변의 많은 사람들도 사용하는 것으로 보면 대중적인 프로그램은 맞는 것 같습니다. 관련 프로그램과 연계해서 사용하면 작업효율이 더 올라가기도 하는 장점이 있습니다.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급하게 캡쳐를 사용해야 할 때는

 

부분캡쳐는 window 키 + shift + s 키를 동시에 누르면 창이 뜹니다

전체화면은 PrtSc 키를 활용하면 됩니다

 

설치를 원할시에는 아래의 이스트 소프트 홈페이지에서 다운이 가능합니다.

 

www.altools.co.kr/Main/Default.aspx

 

알툴즈 - 내 PC 필수품

알툴즈 제품 최신 소식을 가장 신속하게, 최신 버전 다운로드를 가장 간편하게 제공하는 알툴즈 공식 사이트입니다. 알툴즈 사이트에서 알툴즈 통합팩, 알집, 알씨, 알송, 알툴바, 알약, 알약 익

www.altools.co.kr

주의할점은 이스트소프트 프로그램들은 사용성은 좋은데 설치시에 무턱대고 다음만 누르다가는 사용하지 않는 프로그램들을 같이 설치하게 될 수 도있으니 설치시에 체크박스 등을 유의깊게 살펴보시고 필요없는건 해제하고 진행하시기를 바랍니다.

반응형

'프로그램&플랫폼 > 프로그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션 단축키  (0) 2021.04.25
파워포인트 단축키  (0) 2021.04.24
컴퓨터 녹화 프로그램 '곰 캠'  (0) 2021.02.10
노션 : 데이터베이스 생성  (0) 2021.02.07
협업과 정리 - 노션  (0) 2021.01.04
반응형

정부에서 지원하고 시행하는 각종 사업 중 국민내일배움카드를 발급받아 직업훈련을 수강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예전에는 계좌제라는 명칭으로도 불렸었는데 20년 1월 1일자로 실업자와 재직자로 분리되어 적용 받던걸 국민내일배움카드라는 제도로 통합되면서 기존에는 실업자와 재직자 과정을 분류해서 신청이 가능했지만 현재는 구분에 상관없이 신청하여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은 아래와 같습니다.

지원대상 제외기준
실업자, 근로자,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자영업자 현직 공무원, 사립학교 교직원, 재학생(졸업예정자 제외), 연 매출 1억 5천 이상의 자영업자, 월 임금 3백만원 이상인 기업종사자(45세 미만) 특수형태근로종사자 등

더 정확한 사항은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 문의하면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지원대상에 속한다면

가까운 고용센터를 방문하거나, HRD-NET을 통하여 신청하거나, 국민취업지원제도의 해당하는 유형에 지원하여 받을 수있습니다. 보통 검색을 하면 자기가 거주하는 지역에서 받아야 한다고 나오는데 반드시 그런것은 아니지만 때로는 신청과정에서 연락이와서 해당 거주지로 재신청을 안내받기도 합니다. 카드 발급뒤에 교육신청시에는 문제가 안되므로 발급받기 편한 곳에서 발급받기를 추천해드립니다. 자영업자의 경우 사업자 등록증을 요구하기도 하니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코로나 시대로 인하여 굳이 기관을 방문하지 않아도 hrd 홈페이지에 방문하여 순서대로 진행하면 굉장히 편리하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잘못된 사항이 있으면 고용센터에서 전화가와서 수정요청을 하니 걱정마시고 진행을 하면 됩니다.

 

주요내용은 1인당 3백~5백만원 까지의 직업훈련 프로그램에 등록된 과정의 비용을 국가가 지원하는 것입니다. 해당 금액은 본인이 배우고자 하는 과정의 유형에 따라, 예로 국가기간전략산업직종은 해당 과정이 길고 훈련비가 훨씬 많지만 일괄적으로 교육과정에 선발됐다는 가정하에 본인의 한도에서 2백만원을 차감한후에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지원 훈련비를 훨씬 상회하는 과정이 많지만 본인 부담이 없을 수 있으니 해당 교육 기관에 정확히 문의 후 진행을 하시길 바랍니다. 훈련과정은 직업훈련포털 hrd를 방문하면 지역과 과정, 기간별로 자세히 검색할수가 있습니다. 

 

굉장히 많은 과정을 비용을 들이지 않고 배울 수 있으므로 발급을 염두에 두신 분이라면 제도를 잘 활용해서 스펙을 업그레이드하거나 평소에 배우고 싶던걸 배우는 기회로 만드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